반응형 전체 글339 [SpringBoot] Ajax 통신으로 json 주고 받기 매번 잘 사용하면서도 잠깐 안 쓰다 보면 잊어버리길래 정리를 해보려 한다. Ajax 를 사용하려면 jQuery를 사용해야 한다.Jquery 사이트에서 복사해 오면 된다 https://releases.jquery.com/html 또는 jsp 의 태그 안에 넣고 사용하자! Ajax 구조 $.ajax({ url : "", // 이동 경로 type : "", // 대소문자 가리지 않음 - GET , POST , PUT , DELETE async : true, // 기본값은 true , true : 비동기 , false : 동기 dataType : "", .. 2024. 7. 4. [SpringBoot] Interceptor 구현하기 Interceptor 란 가로채다, 차단하다 라는 의미로 사용자의 요청을 가로채는 역할을 하고각각 3가지의 Method로 되어있다 preHandle - 사용자의 요청으로 Controller 에 가기 전에 가로챈다postHandle - 사용자의 요청으로 Controller 의 동작이 끝나면 실행한다afterCompletion - 화면의 실행이 끝나면 실행된다 Filter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동작하는 시점이 다르다 Client ------> Filter ------> Dispatcher Servlet ------> Intercepor ------> Controller Client Filter ------ Dispatcher Servlet ------ Intercepor ------ Controller.. 2024. 6. 18. [SpringBoot] Gradle + React 같이 빌드하기 React 와 vue 를 실행하려면 npm start 또는 run 으로 따로 실행을 해야 하는데매번 이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front와 back 을 같이 build 하여 back 주소로 실행하려고 한다 build.gradledef frontendDir = "$projectDir/src/main/frontend/my-app"sourceSets { main { resources { srcDirs = ["$projectDir/src/main/resources"] } }}processResources { dependsOn "copyReactBuildFiles" }task installReact(type: Exec) { workingDir "$frontendDir" .. 2024. 6. 17. [SpringBoot] WebSocket 채팅 테스트 dependency - pom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thymeleaf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web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websocket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devtools runtime tr.. 2024. 6. 9. [JAVA] 파일 생성, 삭제, 쓰기, 이름변경, 이동, 복사, 읽기 하기 파일 생성import java.io.File;public class FileUtil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 throws Exception{ try{ // 만들 파일 이름 및 경로 지정 File file = new File("src/main/resources/config/config.txt"); file.createNewFile(); }catch (Exception e){ e.printStackTrace(); } }} file.createNewFile() 을 이용하면 해당 경로에 파일을 만들 수 있는데파일이 존.. 2024. 5. 21. [SpringBoot] Cors 적용 및 테스트 하기 Cors 와 SopCors 란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 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 란 약자로 쉽게 말해선 A - http://임의주소A:8000/AB - https://임의주소B:9000/B A -> BB -> A서로 다른 주소끼리 요청을 보내고 받을 때 허용해 주는 것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웹에는 SOP(Same-origin policy)라 하여동일 출처 정책이라는 보안 정책이 설정되어 있어서 스키마 : http, https호스트 : www.test.com 포트 : 8080 스키마, 호스트, 포트가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우리는 이러한 에러 메시지를 접하게 된다 테스트를 하기 위해SpringBoot 프로젝트를 하나 새로 만들었고 8172로 포트를 지정하였다 매인 프로젝트 .. 2024. 5. 11. 이전 1 ··· 12 13 14 15 16 17 18 ··· 57 다음 반응형